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돈이 되는 정보 모음

청년 월세 특별 지원에 대해 알아보자.

by 슬기로운 생활78 2024. 3. 15.

 

오늘은 청년 월세 특별지원 정책에대해 알아보고 지원 방법 및 조건, 신청하는 홈페이지를 제공하며 청년 월세 특별지원에 대하여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34세 청년들이 독립적으로 생활하고 있는 경우, 월세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월세 지원은 중위소득의 60% 이하인 청년가구에 해당하며, 최대 20만 원까지 1년 동안 받을 수 있습니다.(기준 중위 소득은 글 맨아래 배치해두겠습니다.)

<가입조건>

  • 청약통장 가입자여야 합니다.
  • 19세부터 34세까지의 무주택자로서 부모와 따로 거주해야 합니다.
  • 보증금은 5,000만 원 이하이고, 월세는 70만 원 이하인 주택에 거주해야 합니다.
  • 청년가구의 중위소득은 60% 이하이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인 가구의 경우 월 소득은 133만 7,076원 이하이며, 자산은 1.22억 원 이하여야 합니다.
  • 원가구의 중위소득은 100% 이하이고, 자산은 4억 7,0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 청년가구에는 배우자, 직계비속(자녀, 손주 등), 동일 주소지에 거주하는 기타 민법상 가족이 포함됩니다.
  • 원가구에는 청년가구와 1촌 이내의 직계혈족(부모)을 포함합니다.

<필요서류>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신청 서류에는 월세지원 신청서, 소득 재산 신고서, 서약서, 임대차계약서 또는 입실확인서, 월 세이체 증빙서류(계좌이체 내역, 통장사본, 카드 결제 또는 인터넷 결제 내역, 임대인 발행 영수증), 가족관계증명서(상세), 월세지원 신청서, 소득 재산 신고서등 입니다.

 

<신청기간>

신청 기간은 2024년 2월 26일부터 2025년 2월 26일까지로 1년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하는 방법>

이며, '복지로' 웹(www.bokjiro.go.kr)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거주지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복지서비스 상세(중앙) (bokjiro.go.kr)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4661

 

www.bokjiro.go.kr

 

궁금해요 Q&A

Q1. 중간에 이사를 하면 지원이 종료되나요?

A. 아니요. 사업 시행 기간(2024년 3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동안에는 새로운 월세 계약을 체결해도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새로운 임대차 계약서를 제출하여 변경 신청하면 12개월 동안의 월세를 모두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Q2. 1차 청년월세 특별지원을 받았는데, 또 신청할 수 있나요?

A. 네. 기존에 1차 사업이나 지방자치단체 사업에서 월세를 이미 지원받은 청년도 지원이 끝났다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시행되는 청년월세 특별지원은 2차로 진행되는 사업입니다. 이전에 받은 월세 지원과 관계없이 신청 가능합니다.

 

기준 중위 소득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1인가구 1,562,337 1,624,831 1,652,931 1,672,105 1,707,008 1,757,194 1,827,831 1,944,812 2,077,892 2,228,445
2인가구 2,660,196 2,766,603 2,814,449 2,847,097 2,906,528 2,991,980 3,088,079 3,260,085 3,456,155 3,682,609
3인가구 3,441,364 3,579,019 3,640,915 3,683,150 3,760,032 3,870,577 3,983,950 4,194,701 4,434,816 4,714,657
4인가구 4,222,533 4,391,434 4,467,380 4,519,202 4,613,536 4,749,174 4,876,290 5,121,080 5,400,964 5,729,913
5인가구 5,003,702 5,203,849 5,293,845 5,355,254 5,467,040 5,627,771 5,757,373 6,024,515 6,330,688 6,695,735
6인가구 5,784,870 6,016,265 6,120,311 6,191,307 6,320,544 6,506,368 6,628,603 6,907,004 7,227,981 7,618,369